Simply Charlotte Mason 핵심 철학

자기 교육

홈스쿨에서 가장 많은 일을 하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선생님(부모)인가요? 학생(자녀)인가요?

아기 의자에 앉아 있는 아기에게 음식을 먹이려고 하는 엄마를 상상해 보세요. 그 장면 상상할 수 있으시죠? 이제 그 장면을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상상해 봅시다.

먼저, 엄마가 그릇에 미리 손질한(preprocessed) 완두콩을 들고 있고 그릇의 ‘완두콩 으깬 것’을 아기에게 먹이고 싶어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아기는 이 일(idea)에 열광하지 않습니다. 사실, 입을 꽉 다물고 있습니다. 그럴 때 엄마는 어떻게 하나요? 재미있게 만들려고 노력합니다. 무슨 말인지 아시죠? 완두콩이 비행기(“슈웅!”)나 기차(“뿌, 뿌, 입 벌려요. 들어갑니다, 뿌, 뿌~”)를 타고 온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아기 앞에서 숟가락을 흔들고 소리를 내는 엄마를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어쩌면 여러분이 그 장면 속의 부모였을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장면을 다른 방식으로 상상해 봅시다. 엄마가 잘 익은 바나나의 껍질을 벗기고, 작은 조각으로 잘라 아기 의자 트레이에 올려놓는다고 상상해 보세요. 그런 다음 엄마는 아이가 하는 일을 지켜보고, 아이의 노력을 격려하고, 자신의 점심이나 간식을 먹기 위해 옆에 앉습니다.

이 두 장면의 차이점이 보이시나요? 손질된 음식과 즐거운 비행기 소음이 있는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누가 일을 하고 있었을까요? 부모가 대부분의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두 번째 시나리오, 즉 바나나 조각이 있는 시나리오에서 누가 일을 하고 있었나요? 아이입니다. 어머니는 아이에게 적절한 방식으로 음식을 제공했지만 아이가 스스로 먹도록 두었습니다.

우리는 샬롯 메이슨의 핵심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있어요. 가장 최근에 살펴본 핵심 가치는 육체를 먹이는 것과 마음을 먹이는 것을 비교한 것입니다. 육체적 생명이 음식에 의해 유지되고 연료를 공급받는 것처럼 정신적 생명은 아이디어에 의해 유지되고 연료를 공급받습니다. 자녀의 몸이 음식을 섭취하고 소화하여 영양분을 흡수하는 것처럼, 자녀의 정신도 아이디어를 섭취하고 소화하여 영양분을 흡수해야 합니다.

오늘 살펴보고자 하는 핵심 가치는 바로 이 질문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자녀의 정신을 어떻게 먹이고 있나요? 누가 그 일을 하고 있나요? 선생님인가요, 아니면 자녀인가요?

교사로서 어떻게든 지식을 재미있고 흥미롭게 만들어 아이가 보지 않을 때 아이의 머릿속에 주입하는 것이 선생님의 일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샬롯 메이슨 방식이 아닙니다.

이미 소화된 정신적 음식을 숟가락으로 떠먹이는 것은 여러분의 일이 아닙니다. 흥미로운 정보 조각을 정확한 순서로 제시하고 그 정보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아이에게 설명하는 것은 부모가 할 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교육의 스트레스(stress)를 학생에게 지우지 않고 교사에게 지우는 것입니다.

“the children, not the teachers, are the responsible persons; they do the work by self-effort” (A Philosophy of Education, p. 6).

샬롯 메이슨은 “책임 있는 사람은 교사가 아니라 아이며, 아이는 스스로 노력하여 그 일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교사의 행동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노력에 중점을 두는 것입니다. 교사에게는 아무런 책임이 없다는 말인가요? 아니요, 때때로 교사가 자신의 책임이 무엇인지 혼동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모든 지식의 원천이 되는 것은 교사의 역할이 아닙니다.

“Let them learn from first-hand sources of information––really good books, the best going, on the subject they are engaged upon. Let them get at the books themselves, and do not let them be flooded with a warm diluent at the lips of their teacher. The teacher’s business is to indicate, stimulate, direct and constrain to the acquirement of knowledge, but by no means to be the fountain-head and source of all knowledge in his or her own person” (School Education, p. 162).

“학생들이 자신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에 대해 정말 좋은 책, 최고의 책에서 직접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라. 아이들이 직접 책을 접하게 하고, 교사의 입술에 따스한 희석제(diluent)를 묻히지 않도록 하라. 교사의 임무는 지식의 습득을 지시하고, 자극하고, 지도하고, 제한하는 것이다. 결코 교사 자신이 모든 지식의 근원이자 원천이 되어서는 안 된다.”(학교 교육, 162쪽).

교사로써 “수지, 여기 우리가 역사에 대해 읽을 (가치 있는 아이디어가 담긴) 책이 있어”라고 알려주어야 합니다.

자극하기 – “오늘 장에서는 한 사람이 혼란 속에서 어떻게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견했는지 듣게 될 거야.”

지시하기 – “이제 잘 들고, 다 듣고 나면 이야기를 들려줘.”

제한하기 – “수지, 주의를 집중해.” 과거에 이야기했던 권위와 순종이라는 핵심 가치를 기억하세요. 그것도 교사로서 책임의 일부입니다.

모든 정신적 점을 직접 연결하여 음식을 미리 소화 시킨 다음 모든 것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아이에게 설명하는 것은 부모가 할 일이 아닙니다. 부모가 그 일을 맡으면 자녀가 스스로 ‘정신적 소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빼앗는 것입니다. 그러한 지식은 아이 자신의 소유물이 아니라 이미 소화가 끝난 음식입니다. 아이는 숟가락으로 떠 먹여 주는 것을 먹기 위해 입을 벌리고 있을 뿐입니다.

“draw together a mass of those ideas which themselves will combine in the mind into which they effect an entrance, and, behold the thing is done: the teacher has done it; he has selected the ideas, shewn the correlation of each with the other and the work is complete!” (A Philosophy of Education, p. 114).

샬롯이 살던 시대의 교사들도 그렇게 하고 있었습니다. “머릿속에서 저절로 결합하게 될 아이디어를 한데 모아 들어가게 하고는 일이 이루어 졌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아이디어를 선택하고, 서로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며 일을 완성 시켰다.”

그러나 교사가 “해냈다”는 것은 학생이 아니라 교사가 해낸 것입니다. 사전 처리된 지식을 숟가락으로 떠 먹여 주는 것은 교사의 역할이 아닙니다. 이러한 경향을 피하려면 학생이 스스로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이 시리즈의 맨 처음에 교육에 대한 신념에 따라 교육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자녀의 머릿속이 정보와 사실을 담는 주머니, 용기 또는 용기에 불과하다고 믿는다면 교사가 그 용기에 필요한 것을 채우거나 버리는 것에 대한 교육적 스트레스를 받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신체가 살아있는 유기체인 것처럼 자녀의 마음도 살아있는 유기체이며 지식에 대한 욕구와 지식을 소화하고 동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면 교육을 학생 스스로 해야 하는 것으로 간주하게 될 것입니다.

“The ideas required for the sustenance of children are to be found mainly in books of literary quality; given these the mind does for itself the sorting, arranging, selecting, rejecting, classifying . . .” (A Philosophy of Education, p. 117).

“The teachers give sympathy and occasionally elucidate, sum up or enlarge, but the actual work is done by the scholars” (A Philosophy of Education, p. 6).

그리고 샬롯은 “아이들의 생존에 필요한 아이디어는 주로 문학적 수준의 책에서 찾을 수 있다”며 “이런 책이 주어지면 정신은 스스로 정리, 배열, 선택, 거부, 분류를 하게 된다”고 안심시켰습니다.

그녀는 또한 “교사는 공감해 주고, 때때로 설명하고 요약하거나 확장시키지만 실제 작업은 학자들이 한다”고 말했습니다.

다음은 교사로서의 책임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공감하기 – 이제 이 부분을 명확히 해 보겠습니다. 샬롯에게 이는 “오, 불쌍한 아이, 내레이션을 하게 해서 정말 미안해”라는 뜻이 아니었습니다. 아니, 오히려 두 사람 사이의 특별한 이해와 같은 정신적 공감에 대해 많이 이야기했습니다. 두 사람이 가진 공통점 말입니다. 자녀와 배움의 기쁨을 함께 나눕니다. 함께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강한 관계를 형성하고 지식에 대한 상호 욕구를 공유합니다. 이것이 바로 공감하는 것입니다.

교사는 또한 “때때로 설명하거나 요약하거나 확장하기도 한다.” 설명한다는 것은 무언가를 명확하게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것을 설명하는 것이 선생님의 역할은 아니며, 설명은 가끔씩이어야 합니다.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보물을 찾는 경험을 빼앗아서는 안 됩니다. 어떤 주제를 요약하거나 자세한 설명을 해야 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The less parents and teachers talk-in and expound their rations of knowledge and thought to the children they are educating, the better for the children. Peptonised [or predigested] food for a healthy stomach does not tend to a vigorous digestion. Children must be allowed to ruminate, must be left alone with their own thoughts. They will ask for help if they want it” (School Education, p. 162).

실제로 샬롯은 “부모와 교사가 교육 대상인 아이들에게 지식과 사상에 대한 설명을 적게 할수록 아이들에게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이미 소화 처리된 음식은 활발한 소화가 이루어지게 하지 못한다. 아이들은 심사숙고 할 수 있어야 하고, 그들 자신의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남겨두어야 한다. 아이들이 원하면 도움을 요청할 것이다.”라고 말합니다.

“The teacher who allows his scholars the freedom of the city of books is at liberty to be their guide, philosopher and friend; and is no longer the mere instrument of forcible intellectual feeding” (A Philosophy of Education, p. 32).

“학생들에게 책이라는 도시의 자유를 허락하는 교사는 그들의 길잡이, 철학자, 친구가 될 수 있으며, 더 이상 강압적인 지적 공급을 하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다”

자기 교육. 학생들은 스스로 학습합니다. 이것이 샬롯 메이슨의 핵심 가치입니다.

적용 APPLICATION

자기 교육이라는 핵심 가치를 구체적으로 적용한 두 가지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아이를 안아서 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아이가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면 뛰어들어 구해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아이를 대신해 일을 해주거나 정답을 알려주거나 다음에 해야 할 일을 알려주는 것은 그저 부모의 불편함을 덜어줄 뿐입니다. 아이를 안아주는 것은 아이가 스스로 걷는 법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제 비유가 바뀌어 더 이상 먹이는 것 대해서가 아니라 걷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하지만 원칙은 동일합니다. “교사가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책임지고 노력해서 이 일을 해야 한다”는 것 말입니다.

샬롯은 특히 수학과 읽기라는 기술 기반의 두 과목에 대해 이 걷기 비유를 사용했습니다. 이 두 과목 모두 개념을 확실히 파악한 다음 그 개념을 바탕으로 실력을 쌓아야 발전할 수 있습니다. 마치 산을 오르는 것과 같습니다. 낮은 길을 정복하기 전까지는 높은 곳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많은 경우 아이가 생각만큼 빨리 발전하지 않는다고 해서 아이를 안고 그 길을 가려 합니다.

“Do not offer him a crutch: it is in his own power he must go” (Home Education, p. 261).

샬롯은 “아이에게 목발을 쥐어주지 마라, 아이 스스로의 힘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기술 기반 과목에서는 학생이 스스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샬롯은 학생이 자신의 속도에 맞춰 작업을 하도록 허용하는 것 이상으로 “만족”이라는 단어를 강조했습니다.

“The teacher must be content to proceed very slowly, securing the ground under her feet as she goes” (Home Education, p. 204).

“교사는 아주 천천히 진행하며, 발 밑을 단단히 다지는데 만족해야 한다.”

불안하지 않습니다.

성급하지 않습니다.

만족하세요.

우리가 신경 쓰지 않는다는 뜻인가요? 아이를 전혀 돕지 않는다는 뜻인가요? 아니요, 아이가 필요로 할 때 발판이나 관심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목표는 결국 아이가 준비가 되었을 때 스스로 그 길을 걸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비결은 필요에 따라 “아주 천천히 진행”하는 것에 만족하고, 과제 목록을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고, 성장하고, 지식을 얻는 일임을 스스로 확신하는 것입니다. 이는 아이가 충분히 이해할 때까지 특정 아이디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존중하는 것에 관한 일입니다. 이제 두 번째 적용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커리큘럼이 아니라 아이를 가르치세요.

아이를 먹이는 장면으로 돌아가 봅시다. 교사로서 여러분의 역할은 그 시기 아이에게 적절한 음식을 제공하는 것임을 기억하세요. 우리는 아기 의자 트레이에 티본 스테이크를 놓지 않을 것입니다. 누가 그렇게 하라고 한다 해도 그것이 아이에게 최선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을 것입니다.

커리큘럼도 마찬가지입니다. 커리큘럼을 만든 사람은 여러분만큼 자녀를 잘 알지 못합니다. 자녀가 특정 과목에서 더 도전적인 음식을 먹을 준비가 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좋아요! 그렇다면 더 높은 수준의 책을 읽어주세요. 또는 자녀가 아직 다른 과목에서 더 높은 단계로 올라갈 준비가 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좋아요! 그 경우에는 아이가 다음 단계로 나아갈 준비가 될 때까지 지금 상태를 유지하세요.

커리큘럼에 학생을 맞추려고 하지 말고 학생에게 맞게 커리큘럼을 조정하세요. 샬롯 메이슨 커리큘럼이라면 그 안에 있는 모든 아이디어에 영양분이 풍부하고 건강할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얼마나 빨리 정신적 양식을 먹을 수 있느냐가 아니라, 잔치를 펼쳐놓고 아이가 준비된 것을 취하고, 동화하고, 소화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their minds had been fed on this richer diet and they had been allowed to deal with it each in his own individual way” (The Story of Charlotte Mason, p. 140).

샬롯 메이슨 교육을 받은 학생들을 설명할 때 저희는 목표를 이렇게 표현합니다. “그들의 마음은 이 풍부한 식단을 먹고 각자의 방식으로 그것을 처리하도록 허용되었다.”

자녀가 자기만의 방식으로, 자기만의 속도로 개인적인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하며,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자녀를 충분히 존중해 주세요.

아이들은 스스로 노력하여 일합니다. 그것이 바로 자기 교육입니다.

Self-Education: Core Values of Charlotte Mason – Simply Charlotte Mason


샬롯 메이슨 한국(적용편) : 샬롯 메이슨 한국 : 네이버 카페 (naver.com)